본문 바로가기
여행 정보

⚠️ 호주 온라인 사기광고 주의보! 보상금 송금·가짜 슈퍼마켓 채용 등 유형별 피해 예방 가이드

by dailyinsighthub 2025. 6. 1.
300x250

⚠️ 호주 온라인 사기광고 주의보! 보상금 송금·가짜 슈퍼마켓 채용 등 유형별 피해 예방 가이드

최근 호주 온라인 커뮤니티 및 SNS 플랫폼에서 우리 교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기성 광고가 확산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해당 광고들은 정교하게 포장되어 있어 피해자들이 사기를 인지하지 못하고 금전적 피해를 입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호주에 체류 중인 유학생, 워킹홀리데이 참가자, 이민자 등 재외국민 여러분들께서는 아래 사기 유형을 반드시 숙지하고 각별히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온라인 사기광고의 주요 유형

  1. '정부 보상금 수령' 명목의 송금 요구
    - “호주 정부로부터 보상금을 받게 되었으니, 세금 또는 수수료 명목으로 보상금의 10%를 먼저 송금하라”는 식의 사기입니다.
    - 공식적인 정부 보상금은 선송금 요구 없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지급되므로, 이 같은 요구는 100% 사기입니다.
  2. 허위 업체의 '폐업 세일'
    - 실제 존재하지 않는 기업이나 가짜 쇼핑몰을 내세워 “폐업으로 인한 전상품 대폭 세일”을 홍보하며, 제품 결제만 받고 배송은 하지 않는 수법입니다.
  3. 호주 슈퍼마켓 체인과 유사한 이름의 채용 공고
    - “Coles, Woolworths 등 호주의 대형 마트”와 유사한 이름의 허위 회사 계정을 통해, ‘온라인 구매대행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개인정보와 송금을 유도합니다.

💥 피해 시 회복이 어려운 이유

이러한 사기광고에 속아 송금을 진행한 후에는 사실상 피해 금액의 회수가 매우 어렵습니다. 사기범들이 제3국 계좌, 가상화폐, 익명화된 수단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호주 사법기관에서도 추적에 한계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조금이라도 수상한 점이 느껴진다면 절대 응답하거나 송금하지 마시고, 즉시 신고 조치를 취하는 것이 피해 확산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사기 피해 신고 방법

ACSC 신고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포털에서 “Australian Cyber Security Centre” 검색
  2. 홈페이지 내 Report 클릭
  3. “An individual” 항목 체크 후 아래로 스크롤
  4. “Report a cyber crime to the police” 클릭
  5. Personal cyber issue” 하단의 Start reporting 클릭

위 절차에 따라 사이버 범죄 접수를 하시면, 관련 기관에서 조사 및 조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 예방을 위한 당부 말씀

  • ❌ “보상금 수령”이나 “세일”, “채용” 등 너무 좋은 조건의 광고는 항상 의심하세요.
  • 📷 의심스러운 광고는 캡처 후 경찰 및 대사관에 신고하세요.
  • 👥 온라인 커뮤니티 및 지인들과 사기 사례를 공유하여 추가 피해를 방지합시다.

작은 주의가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과 신분을 지켜줍니다. 해외 생활 속에서도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하게 온라인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본 글은 주호주대한민국대사관의 공식 안전공지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